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 // MutexTest.cpp: 콘솔 응용 프로그램의 진입점을 정의합니다. // #include "stdafx.h" #include <iostream> #include <Windows.h> #include <thread> #include <mutex> #include <time.h> int g_index = 1000; int operateCount = 0; #include <list> static std::recursive_mutex rMutex; void Increase(HANDLE hMutex) { std::unique_lock<std::recursive_mutex> lock(rMutex, std::defer_lock); // 초기화 시간을 제외하기 위해 for (int i = 0; i < 100000; i++) { WaitForSingleObject(hMutex, INFINITE); //g_index++; operateCount++; ReleaseMutex(hMutex); } } void Decrease(HANDLE hMutex) { std::unique_lock<std::recursive_mutex> lock(rMutex, std::defer_lock); // 초기화 시간을 제외하기 위해 for (int i = 0; i < 100000; i++) { WaitForSingleObject(hMutex, INFINITE); operateCount++; ReleaseMutex(hMutex); } } //static std::recursive_mutex rMutex; //std::unique_lock<std::recursive_mutex> lock(rMutex, std::defer_lock); void Increase2() { std::unique_lock<std::recursive_mutex> lock(rMutex, std::defer_lock); for (int i = 0; i < 100000; i++){ lock.lock(); operateCount++; lock.unlock(); } } void Decrease2() { std::unique_lock<std::recursive_mutex> lock(rMutex, std::defer_lock); for (int i = 0; i < 100000; i++) { lock.lock(); operateCount++; lock.unlock(); } } static std::chrono::system_clock::time_point start; int main() { HANDLE hMutex = CreateMutex(NULL, FALSE, NULL); //std::unique_lock<std::recursive_mutex> lock(rMutex, std::defer_lock); //매개 변수로 넘기려고 했으나,, 복제가 안된다고 한다 /* CreateMutex VS unique_lock을 통한 recursiveMutex의 시간 차이를 비교해 본결 과, 전자는 대략 1초 후자는 대략 0.08초가 걸렸다. 즉 시간차이는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 전자는 좀 더 세밀한 동기화를 위해 필요하고 후자는 세밀한 동기화가 필요없고 원자성만 보장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 같다. */ start = std::chrono::system_clock::now(); // std::thread t1(Increase, hMutex); // std::thread t2(Decrease, hMutex); std::thread t1(Increase2); std::thread t2(Decrease2); t1.join(); t2.join(); std::chrono::duration<double> sec = std::chrono::system_clock::now() - start; std::cout << "수행 시간 : " << sec.count() << std::endl; //std::chrono::seconds duration(1); //std::this_thread::sleep_for(duration); printf("operate Count : %d\n", operateCount); getchar(); return 0; } | cs |
recursive_mutex 와 winapi를 통해 만드는 mutex와 둘 중에 뭘 쓸까 고민하다가
비교를 해보기로 했다.
결과는 코드에 써있다.
CreateMutex VS unique_lock을 통한 recursiveMutex의
시간 차이를 비교해 본결 과,
전자는 대략 1초
후자는 대략 0.08초가 걸렸다.
즉 시간차이는 10배 이상 차이가 난다.
전자는 좀 더 세밀한 동기화를 위해 필요하고
후자는 세밀한 동기화가 필요없고 원자성만 보장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 같다.
'시스템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적 할당한 CritcalSection 제거시 나타나는 결과 (0) | 2018.07.25 |
---|---|
간단한 채팅서버 구현시 오류났던 부분 (0) | 2018.05.30 |
이벤트를 사용한 예제 (0) | 2018.05.26 |
뮤텍스와 크리티컬섹션을 이용한 기본 예제 (0) | 2018.05.26 |
크리티컬 섹션과 파일입출력을 통한 기본예제.. (0) | 2018.05.26 |